-
1. 웹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집에서 혹은 학교 혹은 회사에서 본인의 본인의 개인 PC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서버와 스마트폰, 태브릿등의 브라우저가 내장되어있는 컴퓨터를 사용한다. 이때 그림과같이 컴퓨터가 연결되어있는것을 네트워크가 연결되어있다고 하고 서로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인터넷 서비스가 연결되있다고 말한다.
웹프로그램이란 PC에서 어떠한 다른 서버, 다른 컴퓨터로 정보를 요청할때 이것을 'Request' 라 한다. 이럴때 서버혹은 다른 컴퓨터는는 요청한 PC를 대상으로 응답을 하게되는데 이를 'Response'라고 하는데 이러한 전체 흐름을 웹 프로그램 이라고 하며 이러한 과정들을 만드는 것을 웹프로그래밍 개발 이라고 한다.
2. 프로토콜과 IP란?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하는 통신과정에서 서로간의 규약을 정해 놓고 통신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통신 규약을 프로토콜 이라고 한다 프로토콜은 통신을 하기위한 규약으로 HTTP,FTP,SMTP,POP 등이 있다.
- HTTP 웹사이트 (하이퍼링크등을 이용해서 응답을 해주는 것. 그림, 글, 동영상)
- FTP 파일전송 (응답 요청시 HTTP와 달리 파일 자체를 전송한다. 파일을 서버로 보내거나 다시 내려받을 수 있다)
- SMTP.POP 메일을 주고받는 프로토콜
어떠한 컴퓨터의 특정한 주소를 말한다. 데이터를 주고받을 시에 주소를 알아야 한다. IP Address 는 숫자로 되어 있지만, 가독성이 떨어지고 외우기 어렵기 때문에 DNS서버를 두어 사용자가 영문 주소를 입력한것을 연결된 IP주소로 매핑 해준다.
3. 웹 프로그램의 동작 원리
PC에서 무언가를 찾기위해 요청을 한다 (구글,네이버검색) Request -> 어떠한 데이터를 가져올 것인지에 대해서 웹서버가 판단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쿼리문을 날린다 Query -> 데이터베이스에서 응답을 하여 웹서버에 보낸다 Result -> 응답을 받은 웹서버는 처음요청한 사용자에게 응답을 하게된다 Response
사용자가 어떠한 요청을했을때 특별히 가공이 필요없을시 정적데이터HTML로 바로 보여주면 되지만 가공이 필요할 경우를 동적데이터 Container로 보내야한다. 새로 수집하거나 가공하거나 변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