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개발/Servlet & Jsp

간단하게 JSP 맛보기

꿈뻑이의 코딩스토리 2020. 3. 30. 17:48

1. 웹 컨테이너구조 

 

WAS = Web Application Server

 

 

개발자는 .jsp 를 만드는 일만한다. 이때 자바파일, class파일 obj파일을 만드는 것은 JVM이다. 실제 서버에서 구동이되서 특정한 페이지에 작업이 이루어지게되며 그 결과물이 사용자에게 응답이 될때는 HTML 파일로 보여지게된다.

 

  • 개발자가 jsp파일을 만들면 웹컨테이너에 Request해준다. 
  • xxx.jsp파일이 xxx_jsp.java 파일로 변경되고 이 자바파일은 javac 컴파일러에 의해 class 파일로 만들어지고 이class파일은 obj파일로 만들어진다.
  • 이 실행된 결과물이 사용자에게 응답될때는 HTML로 응답이 되어진다.

 

 

 

 

2. JSP 파일 작성

 

HTML 파일의 위에 확장자를 JSP로 바꾸면 JSP파일이 된다.  기본뼈대는 HTML파일이다

 

 

- 이페이지가 어떤 성격을 가지고있다는 것을 컨테이너에게 알려주기위한 지시어 문법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p>Hello World!!</p>
	
</body>
</html>

 

Run 결과 *JSP파일은 WebContent 안에 만들어 줘야한다

 

 

파일 소스

 

사용자에게 응답되어지는 페이지 소스를보면 JSP문법은 없다.  결과적으로 응답을할때는 순수 HTML 파일이 되는것이다.  

 

 

서버의 컨테이너 파일을 보면 .java와 .class파일을 만들어 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